WeniVooks

검색

HTML/CSS 에센셜

가상 클래스와 가상 요소

CSS에서는 기본 선택자 외에도 특별한 상태나 위치를 지정할 수 있는 가상 클래스와 가상 요소라는 강력한 도구를 제공합니다. 이들을 활용하면 HTML 구조를 변경하지 않고도 더욱 세밀하고 동적인 스타일링이 가능해집니다.

1. 가상 클래스 선택자

가상 클래스 선택자(Pseudo-class selectors)는 요소의 특정 상태를 선택할 수 있게 해줍니다. 이들은 콜론(:)을 사용하여 표현됩니다.

1.1 동적 가상 클래스 선택자

동적 가상 클래스는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변화하는 상태를 선택합니다.

1.1.1 :link

아직 방문하지 않은 링크를 선택합니다.

1.1.2 :visited

이미 방문한 링크를 선택합니다.

1.1.3 :hover

마우스 포인터가 올라간 요소를 선택합니다.

1.1.4 :active

마우스로 클릭하고 있는 요소를 선택합니다.

1.1.5 :focus

현재 초점을 가진 요소를 선택합니다.

이러한 동적 가상 클래스들을 조합하여 사용하면 사용자 상호작용에 따른 다양한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. 예를 들어, 링크에 이 모든 상태를 적용할 수 있습니다:

이처럼 동적 가상 클래스는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요소의 스타일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.

2. 가상 요소

가상 요소(Pseudo-elements)는 말 그대로 가상의 요소를 만드는 것입니다. 선택한 요소의 특정 부분에 스타일을 적용할 수 있게 해줍니다. 이들은 이중 콜론(::)을 사용하여 표현됩니다.

2.1 ::before::after

::before::after는 선택한 요소의 내용 앞이나 뒤에 새로운 요소를 만들어 새로운 콘텐츠를 추가할 수 있게 해줍니다. 이들은 주로 content 속성과 짝을지어 장식적인 요소를 추가하거나, 기능적인 목적으로 사용됩니다. 빈태그 img br input 에는 적용할 수 없습니다.

2.2 ::marker

::marker는 리스트 아이템의 마커를 스타일링 할 수 있게 해주는 가상요소입니다. display: list-item을 가진 요소에만 적용됩니다. content, color, font 등의 속성은 사용 가능하지만, 박스 모델의 속성인 background, border, padding은 적용되지 않습니다.

이 방식은 list-style-type:none;::before 을 함께 사용하는 방식보다 훨씬 간단하게 작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. 또한 리스트의 의미 구조를 유지하기 때문에 접근성 측면에서도 더 우수하게 평가됩니다. 따라서 박스 모델 속성의 사용이 필요하지 않다면 ::marker를 사용하는 것을 권장합니다.

[퀴즈]가상 요소를 사용한 리스트 스타일링

가상요소를 이용하여 리스트의 불렛 대신 🍎을 추가해주세요.

<ul class="custom-bullets">
  <li>사과</li>
  <li>바나나</li>
  <li>오렌지</li>
</ul>
<ul class="custom-bullets">
  <li>사과</li>
  <li>바나나</li>
  <li>오렌지</li>
</ul>
정답
.custom-bullets li {
  list-style-type: none;
}
 
.custom-bullets li::before {
  content: '🍎';
  padding-right: 10px;
}
 
/* 또는 */
 
.custom-bullets li {
  padding-left: 10px;
}
.custom-bullets li::marker {
  content: '🍎';
  display: block;
}
.custom-bullets li {
  list-style-type: none;
}
 
.custom-bullets li::before {
  content: '🍎';
  padding-right: 10px;
}
 
/* 또는 */
 
.custom-bullets li {
  padding-left: 10px;
}
.custom-bullets li::marker {
  content: '🍎';
  display: block;
}

이러한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여 리스트의 스타일을 원하는 대로 커스터마이즈할 수 있습니다. 각 방법의 장단점을 고려하여 프로젝트에 가장 적합한 방식을 선택하세요. :::

2.3 ::placeholder

<input><textarea> 요소의 플레이스홀더 텍스트에 스타일을 적용할 수 있게 해줍니다. 플레이스홀더는 사용자에게 입력 필드에 어떤 정보를 입력해야 하는지 안내하는 역할을 합니다.

입력 필드에 텍스트가 입력되면 플레이스홀더는 사라집니다. 접근성을 고려한다면 플레이스홀더에만 의존하지 말고 적절한 레이블도 함께 사용해야 합니다.

의사 요소 - CSS: Cascading Style Sheets | MDN

3. 구조적 가상 클래스 선택자

구조적 가상 선택자는 문서 구조 내에서 요소의 위치에 따라 선택합니다.

3.1 :first-child:last-child

:first-child는 형제 요소 그룹 중 첫 번째 요소를, :last-child는 마지막 요소를 선택합니다.

body의 직계 자손의 경우 :first-child 선택자는 사용가능하지만, :last-child 선택자가 적용되지 않습니다.

<body>
  <p>first-child</p>
  <p>last-child</p>
</body>
<body>
  <p>first-child</p>
  <p>last-child</p>
</body>
/* 적용 o */
body > :first-child {
  color: red;
}
 
/* 적용 x */
body > :last-child {
  color: red;
}
/* 적용 o */
body > :first-child {
  color: red;
}
 
/* 적용 x */
body > :last-child {
  color: red;
}
3.2 :nth-child

부모 요소 내의 모든 자식 요소 중에서 지정된 순서에 있는 요소를 선택합니다. 이 선택자는 요소의 타입과 관계없이 순서만을 고려합니다.

:nth-child() 선택자는 괄호 안에 다양한 형태의 값을 사용할 수 있어 매우 유연합니다. 다음은 :nth-child() 괄호 안에 사용할 수 있는 값의 종류입니다.

  • 정수값: 특정 순서의 요소를 선택
  • 키워드
    • odd: 홀수 번째 요소 선택
    • even: 짝수 번째 요소 선택
  • 수식: an+b 형태의 수식 사용 가능 (여기서 n은 0부터 시작하는 정수, a와 b는 정수값)
  • 음수값: 요소의 뒷부분이나 특정 범위의 요소들을 선택할 때 유용
    • 예: :nth-child(-n+3) 처음 3개 요소 선택
3.3 :nth-of-type

부모 요소 내에서 같은 타입의 형제 요소 중 지정된 순서에 있는 요소를 선택합니다. 이 선택자는 요소의 타입을 고려하여 순서를 계산합니다.

3.4 :only-of-type

:only-of-type는 동일한 유형의 형제가 없는, 형제 요소 중 유일하게 사용된 태그를 선택합니다.

3.5 :not

:not은 부정 선택자로, 특정 선택자를 제외한 요소를 선택합니다.

이러한 구조적 가상 선택자들을 활용하면 HTML 구조를 변경하지 않고도 특정 위치의 요소들에 스타일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. 이는 특히 반복적인 구조를 가진 리스트나 그리드 레이아웃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습니다.

3.6 :is() and :where()

:is():where()는 여러 개의 선택자를 한꺼번에 지정할 수 있는 간편한 방법을 제공합니다. :is()는 여러 개의 선택자를 지정할 때 사용하며, :where():is()와 유사하지만, 우선순위가 낮습니다.

여러 개의 선택자를 선택하는 것은 기존에도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가능했습니다.

h1,
h2,
h3 {
  color: blue;
}
h1,
h2,
h3 {
  color: blue;
}

다만 만약 h1과 h2와 h3 안에 있는 요소를 선택하고 싶다면 아래와 같이 하나씩 선택자를 지정해야 했습니다.

h1 a,
h2 a,
h3 a {
  color: blue;
}
h1 a,
h2 a,
h3 a {
  color: blue;
}

이러한 경우 :is()를 사용하면 아래와 같이 간단하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.

:is(h1, h2, h3) a {
  color: blue;
}
:is(h1, h2, h3) a {
  color: blue;
}

역시 익스플로러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브라우저에서 지원하고 있으므로 충분히 실무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.

브라우저 지원 여부

where():is()와 유사하지만, 우선순위가 낮습니다. 아래 예제를 보며 is()where()를 동시에 사용했을 경우 어떻게 처리되는지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. 확인이 되었다면 is()를 삭제해 보세요.

3.7 :where() 활용

:where()의 가장 큰 장점은 우선순위(specificity)가 0이라는 점입니다. 이는 스타일 재정의가 필요한 상황에서 매우 유용합니다. 예를 들어, 기본 스타일을 정의하면서도 필요한 경우 쉽게 재정의할 수 있게 해줍니다.

/* 기본 스타일 - 낮은 우선순위 */
:where(button, .btn, [type='submit']) {
  padding: 0.5em 1em;
  background-color: #e0e0e0;
  border: 1px solid #ccc;
}
 
/* 특정 컨테이너의 버튼에 다른 스타일 적용 - 쉽게 재정의 가능 */
.form-container button {
  background-color: #0066cc;
  color: white;
}
/* 기본 스타일 - 낮은 우선순위 */
:where(button, .btn, [type='submit']) {
  padding: 0.5em 1em;
  background-color: #e0e0e0;
  border: 1px solid #ccc;
}
 
/* 특정 컨테이너의 버튼에 다른 스타일 적용 - 쉽게 재정의 가능 */
.form-container button {
  background-color: #0066cc;
  color: white;
}

만약 :is() 대신 :where()를 사용하지 않았다면, 두 번째 선택자를 더 구체적으로 만들어야 재정의가 가능했을 것입니다.

3.8 :has()

:has()는 2022년에 도입된 의사 클래스입니다. 이 의사 클래스는 특정 요소가 자식 요소를 포함하고 있는지를 검사할 수 있게 해주며, CSS 선택자의 강력한 기능을 제공합니다. 다른 요소 안에 특정 요소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 스타일을 적용할 수 있어 매우 유용합니다.

역시 익스플로러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브라우저에서 지원하고 있으므로 충분히 실무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.

has() 브라우저 지원 여부

예를 들어, 특정 요소가 자식으로 링크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에만 스타일을 적용하고 싶을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. 아래 예시에서는 div 요소가 a 요소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에만 배경색을 변경합니다.

실용적인 활용

:has() 선택자는 특히 조건부 스타일링에 강력합니다.

  • 이미지가 포함된 카드만 다르게 스타일링
.card:has(img) {
  padding-top: 0;
}
.card:has(img) {
  padding-top: 0;
}
  • 필수 입력 필드(*)가 있는 라벨 강조
label:has(.required) {
  font-weight: bold;
}
label:has(.required) {
  font-weight: bold;
}
  • 빈 목록 표시 방식 변경
ul:not(:has(li)) {
  display: none;
}
ul:not(:has(li)) {
  display: none;
}

이러한 활용 방식은 기존에는 JavaScript로만 가능했던 조건부 스타일링을 순수 CSS로 구현할 수 있게 해줍니다.

11.3 list-style11.5 CSS 변수